Monday, December 23, 2024
Daily Story

자린고비(玼吝考妣)

215views

玼 : 자옥티 자
吝 : 아낄 린
考 : 생각할 고
妣 : 죽은어미 비

아주 더러울 정도로 인색하고 비정한 사람을 꼬집어 이르는 말이다. 자린고비는 예부터 ‘구두쇠’, ‘지독하게 인색한 사람’, ‘지독하게 절약하는 사람’ 등의 뜻으로 통한다.

한때 조선 제일의 자린고비로 불렸던 조륵[1649~1714]은 충북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 사람으로, 근검절약하여 큰 부자가 된 뒤, 어려운 백성들을 많이 도와 가자(加資: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를 올리는 일)까지 받았다고 한다.

조선시대 충주의 자린고비 ‘조륵’은 매우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

장독에 앉았던 파리가 다리에 장을 묻히고 날아가자 그 장이 아까워 멀리까지 따라갔지만 결국 잡지 못했다. 자린고비가 파리를 따라가 어정댔다는 마을은 어정개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였다.

조기 반찬을 상에 놓고 먹지 않고 천정에 매달아 놓고 밥을 먹은 뒤 쳐다 보았다. 아들이 밥 한 숟가락에 조기를 두 번 쳐다보자 “짜다 짜! 한 번만 쳐다 보거라!”라며 야단을 치기도 하였다.

또한 신발이 닳는 것이 아까워 신발을 들고 걸어 다니는 한편, 한여름에도 부채가 닳을까 염려하여 부채를 부치지 않고 부채 앞에서 머리를 흔드는 우스꽝스러운 행동까지 하였다.

자린고비의 이러한 일들이 조정에까지 알려지자 임금은 암행어사를 보내어 진상을 조사하게 하였다.

어사는 객인(客人)인척 하며 자린고비의 집에 머물면서 그를 지켜 보았는데, 예상과 달리 오히려 성대한 대접을 받아 어리둥절 하였다.

어사가 주변을 수소문 해보니 “그렇게 고약하게 아끼더니 환갑이 되는 해부터는 변했습니다. 마을에 흉년이 들자 창고를 털어 먹을 것을 나누어 주더군요.”라는 것이었다.

어사가 이러한 사연을 알고서 며칠 뒤 떠나려 하니 자린고비가 곧 자신의 환갑이라며 잔치를 보고 가라면서 더 있기를 청하였다.

자린고비의 환갑날이 되자 많은 손님들이 모였다. 자린고비는 잔치 음식을 성대히 차려 베풀었다.

그러면서 “이제껏 나 혼자 잘 살려고 구두쇠처럼 지내온 것이 아니오. 환갑을 맞이하여 구두쇠 생활은 청산하고 이제부터는 베풀면서 살겠소.”라며 자기의 재산을 이웃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암행어사는 자린고비의 행적을 임금에게 상세히 보고하였다. 임금은 자린고비를 기특하게 생각하여 정3품의 벼슬을 주어 칭찬하였다.

이웃사람들은 자린고비가 선행을 베푼 일을 아름답게 여겨 ‘인자한 어버이’라는 의미를 지닌 자인고비(慈仁考碑)라는 별명을 붙여주고 비석을 세워 그의 행적을 기렸다고 한다.

Leave a Response